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왜 요즘 '팔지 않고 물려주는' 걸까? 증여 절세법 총정리

by 슈퍼H 2025. 7. 25.
반응형

2025년 상반기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큰 흐름은 바로 ‘아파트 매도 대신 증여’입니다.
특히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를 중심으로 증여 건수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는 통계가 등장했는데요,
단순한 ‘부자들의 선택’으로만 볼 수는 없습니다. 이제는 중산층도 반드시 알아야 할 증여 절세 전략, 지금부터 하나씩 정리해드릴게요.

✅ 아파트 증여, 최근 이렇게 늘었다

  • 강남구: 2025년 6월 기준 78건 (1월 대비 3배 증가)
  • 서초구: 2025년 6월 기준 40건
  • 송파구: 2025년 6월 기준 53건

불확실한 정책과 내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가 맞물리면서, “이럴 바엔 물려주자”는 흐름이 뚜렷해졌습니다.

📌 지금 우리도 준비해야 할 이유

이럴 때 증여를 고려해보세요
  1. 부동산 보유세 부담이 커지는 중이다
  2.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가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
  3. 향후 가격 상승이 유력한 지역에 아파트가 있다
  4. 자녀 명의로 미리 자산 이전을 계획 중이다

💡 아파트 증여 절차 한눈에 보기

절차 내용
① 증여 계약 체결 자녀 등 수증인과 증여 계약서 작성
② 증여세 신고 증여일 기준 3개월 이내 국세청 홈택스에서 신고
③ 부동산 이전 등기 법무사를 통해 소유권 이전 등기 완료
④ 취득세 납부 시가 기준 취득세 3.5% 납부 필요

📎 참고해야 할 필수 사이트

📂 위택스(취득세 조회)
위택스에서 취득세 계산하기

💰 증여세 계산, 이렇게 하면 됩니다

증여세는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로 계산되며, 10년 내 동일인에게 받은 재산을 합산합니다.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액
1억원 이하 10% 0
5억원 이하 20% 1천만원
10억원 이하 30% 6천만원
30억원 이하 40% 1억6천만원
30억원 초과 50% 4억6천만원

📢 TIP! 절세전략 3가지

  1. 10년마다 나눠서 증여 → 공제액 최대 활용
  2. 시가보다 낮은 공시가격 기준 → 평가액 낮추기
  3. 비과세/감면 항목 체크 → 세무사 상담 추천

🤔 증여와 매매, 뭐가 유리할까?

증여는 당장 현금이 오가지 않는 대신 취득세와 증여세 부담이 존재하고,
매매는 양도세가 무겁게 부과됩니다. 특히 다주택자일 경우 양도세 중과가 부담스럽다면 증여가 현실적인 대안입니다.

📌 마무리 체크리스트

  • ✅ 자녀에게 증여 시 10년 간 합산 여부 고려했나?
  • ✅ 공시가와 시가 기준 어느 쪽이 유리한가?
  • ✅ 증여세와 취득세, 언제 신고해야 하는가?
  • ✅ 재산가액이 공제 한도 내인가?
  • ✅ 세무사 또는 법무사 상담은 받아봤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