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긴급여권으로 입국 가능한 나라 총정리 (2025 최신판)

by 슈퍼H 2025. 7. 29.
반응형

✔ 긴급여권, 모든 나라에서 사용 가능한가요?

여권 유효기간이 만료 직전이거나, 급하게 출국해야 할 상황에서 발급받는 긴급여권(단수여권).

그런데 중요한 사실!

모든 나라가 긴급여권 입국을 허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2025년 기준으로, 입국 가능한 국가 / 제한 국가를 총정리해드리니 꼭 확인 후 여행 일정을 조정하세요.

📌 긴급여권(단수여권)이란?

정규여권 발급이 어려운 상황에서, 단기간 출국을 위해 임시 발급되는 유효기간 1년 미만의 여권입니다.

다만 이 여권은 국제적으로 ‘임시여권(Emergency Passport)’ 또는 ‘One-way Passport’로 분류되어 일부 국가에서는 입국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긴급여권으로 입국 가능한 주요 국가 (2025년)

※ 아래는 대한민국 국민이 긴급여권으로 입국 가능한 대표국가입니다. 단, 도착 시 비자 면제 조건을 따로 충족해야 할 수 있으므로, 출발 전 반드시 대사관 확인 바랍니다.

국가 비자 조건 비고
일본 90일 무비자 입국 긴급여권 가능 (공항 심사에서 사유 설명)
베트남 전자비자(e-Visa) 필요 긴급여권으로 e비자 발급 가능
태국 30일 무비자 단수여권 허용 (단, 체류 목적 명확히 해야 함)
필리핀 30일 무비자 입국 가능 (왕복 항공권 제시 필수)
싱가포르 90일 무비자 긴급여권 허용, 심사 기준 까다로움
터키 90일 무비자 입국 가능
UAE (두바이) 30일 도착비자 입국 가능 (정상처리 사례 다수)
인도네시아 (발리) 30일 무비자 긴급여권 허용

⛔ 입국 제한 국가 (긴급여권 불허)

다음 국가는 긴급여권(단수여권)으로 입국이 원칙적으로 불가하거나 제한적입니다.

  • 🇺🇸 미국 – ESTA 불가, 정규여권 필수
  • 🇨🇦 캐나다 – ETA 불가, 입국 거부 가능성 있음
  • 🇦🇺 호주 – 긴급여권 소지자 비자 승인 거절 사례 다수
  • 🇳🇿 뉴질랜드 – 단수여권 입국 제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