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21일,
**교황 프란치스코(Francisco)**가 향년 88세로 바티칸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선종했다.
전 세계 언론은 일제히 이 소식을 속보로 다뤘고,
수많은 종교인과 비종교인을 가리지 않고 그의 삶과 철학을 추모하고 있다.
그가 단순히 로마 가톨릭교회의 수장이었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는 시대를 움직인 리더였다.
누구보다 '낮은 자세'였던 지도자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3년, 제266대 교황으로 즉위했다.
당시 교황청 안팎에선 보수적 분위기가 팽배했지만,
그는 첫 라틴아메리카 출신 교황, 첫 예수회 출신 교황,
그리고 무엇보다 ‘겸손한 교황’이라는 이미지로 전 세계에 다가왔다.
즉위 직후부터 그는 다음과 같은 행보를 이어갔다.
- 황금 십자가 대신 은십자가 착용
- 교황궁이 아닌 소박한 게스트 하우스에서 거주
- 노숙자와 식사, 중증 장애인과 포옹
- 고령자, 난민, LGBTQ+, 빈민, 환경 문제에 일관된 연대 메시지 발신
그는 교황의 전통적 위엄보다
‘세상을 향한 열린 마음과 행동’을 리더십의 핵심으로 삼았다.
교황이 남긴 시대의 메시지들
“세상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신앙은 정죄가 아니라, 이해와 포용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지도자는 섬기는 자이며, 권위는 겸손에서 나와야 한다.”
그는 종교 지도자이지만, 종교를 넘어
인간 공동체 전체에 말을 걸었던 인물이었다.
특히 그가 강조한 다섯 가지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 공감: 약자를 이해하려는 태도, 듣는 리더십
- 연대: 서로 다른 이들과 함께하는 실천
- 절제: 화려함보다 진정성에 집중한 삶
- 생태: 자연과 생명에 대한 책임 의식
- 용서: 판단보다 변화의 기회를 중시
그의 메시지는 성당 안이 아니라,
거리 위에서 울려 퍼졌다.
나의 시선: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리더는 누구인가
프란치스코 교황의 선종 소식을 접하며 나는 스스로에게 질문했다.
“우리가 지금 바라는 리더란 과연 어떤 모습인가?”
빠른 말, 강한 목소리, 화려한 비전…
이 모든 것보다 더 중요한 건
‘누구를 위해 말하고, 어떻게 행동하느냐’라는 질문에 대한 진심 아닐까?
프란치스코는 그 질문에
대답하기보단 몸으로 보여준 인물이었다.
그가 남긴 수많은 연설과 행보 중
가장 내 마음에 남는 장면은,
장애인을 품에 안고 미소 짓던 모습이다.
그 짧은 장면 하나에, 리더십의 모든 가치가 담겨 있었다고 생각한다.
리더십의 정의를 다시 쓰다
그는 정치인도 아니고, 기업가도 아니었지만
그 누구보다 지속가능한 영향력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가 떠난 지금,
우리는 단지 누군가의 죽음을 애도하는 것이 아니라,
‘리더십의 본질’에 대해 되묻는 기회를 마주한 것이다.
- 말보다 행동
- 권위보다 소박함
- 통치보다 연대
- 판단보다 이해
그가 떠난 자리는 조용하지만,
그가 남긴 사람 중심의 리더십은
앞으로도 오랫동안 회자될 것이다.
두입 인사이트
프란치스코 교황은 나에게
‘위대한 업적을 이룬 인물’이기보다,
'위대한 자세'를 유지한 인물로 기억될 것이다.
그는 “변화는 말이 아니라 행동에서 시작된다”는 걸 증명했고,
“진정한 권위는 섬기는 태도에서 비롯된다”는 걸 가르쳐줬다.
그의 선종은 끝이 아니라,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새로운 리더십의 시작을 알리는 조용한 메시지다.